HMS 글로리 (R6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MS 글로리 (R62)는 1945년 4월 2일에 취역한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태평양 전선에 투입되어 일본군 항복을 위한 라바울에 도착했으며, 홍콩 탈환과 영국 연방 군대 수송에도 기여했다. 1947년 예비 함대에 배치되었다가 1950년 재취역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1951년 4월부터 1953년 5월까지 세 차례 파병되었다. 1954년에는 지원 임무를 수행하다가 1956년 예비역으로 배치되었고, 1961년 폐기를 위해 매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의 영국 항공모함 - HMS 트라이엄프 (R16)
HMS 트라이엄프 (R16)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건조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 해군의 콜로서스급 항공모함으로, 취역 후 소련 해군절 참가, 지중해 함대 배속, 한국 전쟁 참전, 훈련함 전환, 중순양함 개조 후 극동 함대 훈련 참가 등의 활동을 하다 1975년 퇴역하여 1981년 해체되었다. - 한국 전쟁의 영국 항공모함 - HMS 오션 (R68)
HMS 오션 (R68)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이 항공모함 수요를 위해 건조한 콜로서스급 경항공모함으로, 야간 전투기 운용 개조, 제트 항공기 첫 항공모함 착륙, 지중해 함대 활동, 한국 전쟁 및 수에즈 위기 참전 후 1962년 해체되었다. -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 HMS 트라이엄프 (R16)
HMS 트라이엄프 (R16)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건조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 해군의 콜로서스급 항공모함으로, 취역 후 소련 해군절 참가, 지중해 함대 배속, 한국 전쟁 참전, 훈련함 전환, 중순양함 개조 후 극동 함대 훈련 참가 등의 활동을 하다 1975년 퇴역하여 1981년 해체되었다. -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 HMS 오션 (R68)
HMS 오션 (R68)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이 항공모함 수요를 위해 건조한 콜로서스급 경항공모함으로, 야간 전투기 운용 개조, 제트 항공기 첫 항공모함 착륙, 지중해 함대 활동, 한국 전쟁 및 수에즈 위기 참전 후 1962년 해체되었다. - 1943년 선박 - USS 요크타운 (CV-10)
USS 요크타운 (CV-10)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군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으로, 침몰한 USS 요크타운 (CV-5)의 이름을 이어받아 태평양 전쟁에서 활약하고 대잠 항공모함으로 개조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아폴로 8호의 승무원과 사령선을 회수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박물관 함선으로 전환되어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전시되어 있다. - 1943년 선박 - LST 문산
LST 문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 소속 LST-120으로 태평양 전구에서 활동하다 대한민국 해군에 인수되어 문산호로 명명된 상륙함으로, 한국 전쟁 초기 전투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장사상륙작전 기념공원에 모형이 건립되어 보존되고 기념관이 개관하여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있다.
HMS 글로리 (R62)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함명 | 글로리 |
건조 | 할랜드 앤드 울프, 벨파스트 |
기공 | 1942년 8월 27일 |
진수 | 1943년 11월 27일 |
취역 | 1945년 4월 2일 |
퇴역 | 1956년 |
최후 | 1961년 스코틀랜드 인버키딩에서 해체 |
소속 국가 | 영국 |
함 별명 | 글로리 |
함 표어 | (정보 없음) |
제원 | |
함급 |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
배수량 | 13,190 롱톤 |
길이 | 전체 길이: 695 ft (211.8 m) 수선 간 길이: 630 ft (192 m) |
폭 | 80 ft (24.4 m) |
흘수 | 평균: 18 ft 6 in (5.6 m) 만재: 23 ft 6 in (7.2 m) |
깊이 | (정보 없음) |
추진 동력 | 2 × 축 Parsons geared 스팀 터빈 4 × Admiralty 3-drum 보일러 40,000 shp (29,828 kW) |
속력 | 25 노트 (46 km/h) |
항속 거리 | 12,000 해리 (22,224 km) (14 노트 (26 km/h) 시) |
탑승 인원 | 1,300명 (항공 그룹 포함) |
무장 | |
무장 | 24 × QF 2파운더 해군포 (6 quadruple mounts) 32 × 오리콘 20 mm 기관포 |
탑재 항공기 | 48대 |
탑재 항공기 종류 | 슈퍼마린 씨파이어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
2. 역사
1945년 4월 2일에 취역한 HMS 글로리(R62)는 페어리 바라쿠다 (837 해군 항공대)와 F4U 콜세어 (1831 해군 항공대)의 항공대를 탑재하고 태평양으로 향했다.[1] 시드니에서 태평양 전쟁이 끝나갈 무렵 영국 태평양 함대의 제11 항공모함 전대에 합류했다. 앤서니 워스 버자드 제독의 지휘하에 있던 ''글로리''는 1945년 9월 6일, 일본군 수비대의 항복을 받기 위해 라바울에 도착했다.
이 첫 항해의 승무원 중 한 명은 콘월 출신의 시인이자 방송인인 찰스 코슬리로, 그는 주임 원사 코더로 복무했다. 1945년, ''글로리''에서 복무하면서 그는 'The Song of the Dying Gunner AA1'이라는 시를 썼다.[4] 그는 이 배와 이 시기에 관해 'HMS ''Glory''' (벨파스트와 극동으로의 출항을 배의 의인화된 '목소리'로 묘사)와 'HMS ''Glory'' at Sydney' (호주에서의 배의 경험과 선원들을 회상하는 작가의 관점에서 쓴 더 긴 작품)라는 두 편의 시를 더 발표했다. 그는 또한 일본의 항복과 같은 이 시기의 다른 여러 측면과 에피소드를 다양한 산문으로 묘사한다.
라바울에서의 항복 이후, ''글로리''는 홍콩을 탈환하는 데 기여했고, 그 후 호주와 캐나다로 항해하여 영국 연방 군대를 각국으로 귀환시켰다. 이 배는 1947년 영국으로 돌아와 예비 함대에 배치되었다. 1949년 11월, 이 배는 예비에서 해제되었고 1950년 12월에 완전히 재취역했다.
그 후 ''글로리''는 세 차례의 전쟁 배치의 첫 번째로 1951년 4월 한국에 배치되었다. 첫 번째 배치는 그 해 9월에 끝났지만, ''글로리''는 1952년 1월부터 5월까지, 1952년 11월부터 1953년 5월까지 다시 작전에 투입되었다. 한국 전쟁에서 매우 활발한 활동을 펼친 후, ''글로리''는 1954년을 페리, 수송선 및 헬리콥터 기지로 보냈다. 1956년은 이 배의 현역 경력의 마지막 해였으며, 예비로 배치되었다. 1961년, ''글로리''는 토머스 W. 워드(Thos. W. Ward)에 인버키싱에서 스크랩 처분을 위해 매각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4월 2일에 취역한 HMS 글로리(R62)는 페어리 바라쿠다 (837 해군 항공대)와 F4U 콜세어 (1831 해군 항공대)의 항공대를 탑재하고 태평양으로 향했다.[1] 시드니에서 태평양 전쟁이 끝나갈 무렵 영국 태평양 함대의 제11 항공모함 전대에 합류했다.[1] 앤서니 워스 버자드 제독의 지휘하에 있던 ''글로리''는 1945년 9월 6일, 일본군 수비대의 항복을 받기 위해 라바울에 도착했다.[1]라바울에서의 항복 이후, ''글로리''는 홍콩을 탈환하는 데 기여했고, 그 후 호주와 캐나다로 항해하여 영국 연방 군대를 각국으로 귀환시켰다.[4] 이 배는 1947년 영국으로 돌아와 예비 함대에 배치되었다. 1949년 11월, 이 배는 예비에서 해제되었고 1950년 12월에 완전히 재취역했다.
2. 2. 한국 전쟁
글로리는 1947년 영국으로 돌아가 예비 함대에 배치되었다가 1949년 11월 예비역에서 해제되어, 1950년 12월에 완전히 재취역했다.[4] 한국전쟁에는 HMS 트라이엄프 (R16), HMS 테세우스 (R64), HMS 글로리 (R62), HMS 오션 (R68) 등 5척의 영국 해군 항공모함이 참전했다.[1] 글로리는 1951년 4월 한국에 전개되어 세 차례 파병되었다.[1] 첫 번째 파병은 1951년 4월부터 9월까지였고,[1] 두 번째 파병은 1952년 1월부터 5월까지, 세 번째 파병은 1952년 11월부터 1953년 5월까지였다. 태평양 전쟁 이후 홍콩 재점령을 지원하고 귀환병 수송 임무를 수행한 후, 글로리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유엔군을 지원하였다.2. 3. 퇴역
글로리함은 1947년 영국으로 돌아가 예비역이 되었다가 1950년 12월에 현역으로 복귀했다. 1951년 4월부터 9월, 1952년 1월부터 5월, 11월부터 1953년 5월까지 한국 전쟁에 3회 파병되어 대한민국에 배치되었다.1954년에는 페리, 수송선 및 헬리콥터 기지로 활용되었다. 1956년 예비역으로 전환되었으며, 1961년 스코틀랜드 인버키딩에서 폐기하기 위해 업체에 매각되었다.
3. 함재기
3. 1.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 8월, HMS 글로리에는 총 39기의 항공기가 탑재되었다. 페어리 바라쿠다(Fairey Barracuda) 18대로 구성된 837 해군 항공대와 F4U 콜세어(F4U Corsair) 21대로 구성된 1831 해군 항공대가 배치되었다.3. 2. 한국 전쟁
4. 기타
4. 1. 찰스 코슬리와 HMS 글로리
4. 2. 경례용 포
로사이드에서 예비 상태에 있는 동안, 4문의 함포가 제거되어 HMS 칼레도니아에서 경례용 포대로 사용되었다. 이 함포들은 "병기, 속사포, 호치키스, 3파운드, Mark 1"으로 묘사되었으며, 제조 연도는 1888년, 1898년, 1904년, 1915년이었다. 이 함포는 1985년 해군 공학 학교가 폐쇄될 때까지 HMS ''Caledonia''의 견습생들이 방문하는 왕족과 함선에 경례하는 데 사용되었다. HMS Caledonia (1946 육상 시설)는 1946년에 취역하여 1985년에 퇴역한 기술자 훈련 시설이었다.5. 갤러리
5. 1. 관련 사진
참조
[1]
서적
Gardiner and Chesneau 1980
[2]
서적
Chesneau 1998
[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hms-glory[...]
H.M.S Glory Association
2012-08-03
[4]
웹사이트
Charles Causley (1917-2003) – the War Poets Association
http://www.warpoe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